Handy Helper
인터넷속도 네트워크속도 sata2속도 sata3속도 ssd속도 일반하드속도 이해하기 본문
----- 흔히 보는 수치들에 전송속도 -----
100Mb 인터넷 속도 광고 / 1Gb광랜
내부인터넷 1G vs 10G
sata2(3Gb/s) vs sata3(6Gb/s)
SSD 읽기속도(550Mb/s) / 쓰기속도(520Mb/s) - (제품마다 다름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위처럼 흔하게 이야기하는 전송속도를 알아보겠습니다.
우선 위속도에 단위를 통일해야 한눈에 알아볼수있겠죠.
위 속도에 단위는 Mbps 와 Mb/s를 함께사용했기때문에 한눈에 보이지 않는것입니다.
사람에게는 사실 Mbps에 단위보다는 Mb/s에 단위가 받아들이기가 편리합니다.
Mb/s에 뜻은 1초에 몇 Mb를 전송하느냐 이니까요.
기본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용량에 단위가 Mb에 단위이니 훨씬 받아들이기가 쉽겠죠.
변환수식( Mbps = Mb/s)은 간단합니다.
Mbps * 0.125 = MB/s (Mbps에 0.125를 곱해주는 이유는 1bit *8 = 1Byte이기 때문)
Mbps / 8 = MB/s
위 두개에 수식중 어느걸로해도 상관없습니다.
예를들면 1Gb광랜이라고 광고를하지만 1초에 1G를 다운로드하는게 아니잖아요.
1Gb광랜을 Mb/s로 변환을해보면
1Gbps = 1000Mbps = 1000 * 0.125 = 125Mb/s = 약 1초에 125Mb를 전송
이렇게 계산이됩니다.
하지만 통신사에서 1Gb라고 사용하는 이유는 125Mb/s라는 숫자보다 1Gb라는 숫자가
더있어보이는 광고효과가 좋기 때문일거라는 생각이됩니다.
자 변환수식을 배웠으니 위 "흔히 보는 수치들에 전송속도" 들을
Mb/s(1초에 몇 Mb를 전송)로 변환해보겠습니다.
----- 흔히 보는 수치들에 전송속도를 Mb/s로 변환 -----
12.5Mb/s 인터넷 속도 광고 / 125Mb/s광랜
내부인터넷 125Mb/s vs 1250Mb/s
sata2(375Mb/s) vs sata3(750Mb/s)
SSD 읽기속도(550Mb/s) / 쓰기속도(520Mb/s) - (제품마다 다름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동일하게 1초에 몇 Mb를 전송하는지 단위를 변경해보았습니다.
100Mb인터넷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집에서 동영상 다운 시 속도가 12.5Mb/s를 넘지 않으시죠.
그리고 회사에서 1Gb로 구성된 내부네트워크에서도 파일전송 속도가 125Mb/s를 넘지 않으시죠.
그리고 컴퓨터 하드를 SSD로 바꾸셨는데 일반 하드디스크보다는 속도는 빨라졌지만
SSD속도를 100프로 체감하지 못하신다면
메인보드에 연결된 케이블 포트가 sata2인지 sata3인지 확인해 보셔야겠죠.
SSD속도가 550Mb/s인데 메인보드에서는 sata2(375Mb/s)속도까지만 지원을 한다면
컴퓨터나 서버를 ssd로 업그레이드할때 메인보드까지 바꿔야할지 메인보드는 그냥 사용할지 판단하시면 됩니다.
표로 만들어보았습니다. 참고 자료입니다.
내용 | Mbps | Mb/s |
인터넷 100M 속도 | 100 | 12.5 |
인터넷 1G / 네트워크 1Gb 속도 | 1000 | 125 |
네트워크 10G 속도 | 10000 | 1250 |
sata2(3Gb/s) 속도 | 3000 | 375 |
sata3(6Gb/s) 속도 | 6000 | 750 |
ssd 속도 | 4400 | 550 |
일반하드(sata3/7200/64M) 속도 | 1560 | 195 |
이제 시스템을 구축하게된다면 전송속도부분을 채크하실수있겠죠~
이만 포스팅을 마침니다.
'IT/웹/모바일 > 유틸리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음악CD MP3파일로 변환(리핑)하는 방법_Media Player로 리핑 (0) | 2016.01.18 |
---|---|
LG키폰(LDP-6030DH) key Telephone 단축번호 넣는방법 (1) | 2015.10.02 |
Mbps를 MB/s로 변환하는 방법 #인터넷속도 100M (0) | 2015.09.16 |
QNAP FTP전송 방식 Require explicit FTP over TLS(Transport Layer Security) (0) | 2015.09.15 |
#대용량 복사 #복사 유틸 #무설치 복사프로그램 #FastCopy (0) | 2015.08.31 |
Comments